오세일 교수



Email       ohseilsj@gmail.com
연구실       다산관 436호
TEL         02-705-8367 
Courses    종교/영성/문화 사회학 (religion, spirituality, culture), 방법론 (methodology), 사회통계 (social stats), 사회운동 (social movements), 도시사회학 (urban sociology), 행복/삶의 질 (happiness & the quality of life), 현대사회론 (contemporary societies), 졸업논문 (graduation thesis), 

현장실습 (internship), 연구방법실습 (practicum of research methods), 중급통계실습 (advanced stats), 학술논문 세미나 (seminar on academic thesis),  

연구분야 및 실적  


연구분야

종교·영성사회학(Sociology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문화와 사회변동(Culture and Social Change), 사회운동(Social Movement), 

행복과 삶의 질(Happiness and the Quality of Life), 청년세대(Youth generation)
사회통계학(Social Statistics);  사회과학 방법론(Methodology)
 

학력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M.A.

Jesuit School of Theology at Univ. of Santa Clara M.Div / Th. M.
Boston College, Sociology  Ph. D. (2011) 


주요 경력 및 최근 학회 활동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RC07,22) 국제사회학회 회원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미국사회학회 회원
한국사회학회, 한국종교사회학회, 한국종교학회, 사회이론학회 활동

 

주요 연구 업적 및 연구 동향


2025. "법은 죽은 자를 어떻게 호명하는가 - 죽음관리정치와 사자존엄(死者尊嚴) 문제를 중심으로"  오지민, 오세일, <경제와사회>
2025. "2027 서울 WYD를 향한 '청년 사목'의 성찰적 제도화에 관한 연구: 시노달리타스의 적용을 중심으로" 정규현, 오세일, <가톨릭신학과사상>
2025. "‘예술인-되기’와 ‘예술-하기’의 간극: 공연예술계(연극/뮤지컬) 예술인의 진입 과정을 중심으로" 김진이, 오세일, <문화와사회> 

2025.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세계시민의식 담론 분석: 2000년부터 2024녀까지 언론기사와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글 비교 연구" <현상과 인식> 


2024. "한국교회와 청년사목- 청년세대의 현실과 사목적 전망, 그리고 WYD를 향한 제언" (정규현, 오세일) <신학과 철학>

2024. "부모의 양육태도, 교사태도,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은지, 오세일, 김경주), <청소년학연구> 

2024. "청소년 사목과 시노달리타스: 『한국 천주교 청소년 사목 지침서』의 사목적 적용에 대한 성찰" (정규현, 오세일) <신학과 철학> 


2023. "혐오 문화와 『모든 형제들』" <신학전망> 

2023. "예술계 전공 대학졸업자의 일자리 만족도 분석" (김진이, 오세일) <문화산업연구> 

2023. "타자혐오에 투사된 자기혐오: 온라인 메타포 ‘충’과 혐오 논쟁" (오지민, 오세일) <사회이론>

2023. 『한국 가톨릭계 대학 효과성 연구』 (최준규, 김경이, 한진영, 김우선, 오세일) CU12 (한국가톨릭대학교 총장연합회) 

2023. "충(蟲)담론과 혐오문화 분석" (오지민, 오세일) <현상과인식>

2023. "교회와 민주주의: 시노달리타스 관점에서 본 '권력'에 대한 성찰" [Church and Democracy] 오세일 『힌국천주교회와 시노달리타스 』  그리스도사상연구소 출판. 

2023. "중논년층의 삶의 요건과 자살생각: 비판적 삶의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지민, 오세일 공저) <인문사회21>  

2023. "한국 대학생의 정치의식과 능력주의가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수빈, 안지빈, 이세환, 오세일 공저) <통일연구> 

2023. "Enchanted Companionship of Korean Catholic Youth amid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Kyuhyun Jung, Seil Oh) Sociology Compass. 

2023. "탈종교화 시대, 청년여성과 종교" [Young Women and Religion in the Era of De-religionization] 박진희, 오세일 <종교와 사회>


2022. "시노달리타스를 향한 사목적 회심: 이냐시오의 영성과 식별의 실천적 적용" [Pastoral Conversion for Synodal Church: Ignatian Spirituality and Discernment] 오세일. <신학과철학> 

2022. "코로나 19와 죽음관리정치" [The Funeral of COVID-19 Patients and Death-Politics] (오지민, 오세일) <현상과인식> 12월호.

2022. "장례식 장()에서 여성 상주의 인정과 상징 투쟁"  [Symbolic Struggle for Women’s Recognition in Funeral Rites ] (오지민, 오세일) <문화와사회> 12월호. 

2022. "예술실천을 통한 세월호 참사의 기억 운동: '세월호 연극제'를 중심으로" [Artist Activism for the Memo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김진이, 오세일) <사회이론> 12월호. 

2022. "사회적 참사와 기억 공간의 제도화: 세월호와 대구지하철참사 비교 분석"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emory Places for Social Disasters Comparative Analysis of Sewol Ferry and Daegu Subway Fire] (김진이, 오세일) <경제와 사회> 12월호. 

2022. "사제는 청년들의 신앙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시노달리타스를 향한 사제 리더십 분석" [How Does a Priest Affect Young Adult Catholics’ Faith Journey?: Analysis on Priests’ Leadership in the Light of Synodalitas]  (정규현, 오세일 공저) <신학과 철학>

2022. "양육 미혼모 유투버의 미디어 수행성과 정체성" [Unwed Single Mother YouTubers’ Media Performativity and Identity] (김지수, 김경주, 오세일 공저) <인문사회21>


2021. “Ecological Reflections on the Fukushima Wastewater Spillage” (Seil Oh) Civilta Catholica vol(4109).

2021. 코로나 시대의 불안과 종교의 공적 역할하버마스와 테일러의 후기 세속사회 논쟁 고찰, (이세환오세일 공저) <사회이론> 12월호

2021. “코로나 시대에 교회가 나아가야 할 길” (정규현오세일 공저) <가톨릭 신학과 사상

2021. “Religion and Public Conflict in the Post-COVID Era: The Case of Protestant Churches in South Korea” (이세환오세일 공저Religions October 9.

2021. "Reflection on the Global Society, Post-Covid19" Civiltta Catholica 

2021. "한국 근본주의 개신교인의 '4대혐오'에 관한 연구" (윤신일, 오세일 공저), 『한국사회학』 

2021. "천주교 신자들의 사회참여 요인 분석" (정규현, 오세일 공저), 『신학전망』


2020. "가톨릭 청년 냉담자의 탈교회화 현상 연구" (박진희, 오세일 공저), 『종교연구』

2020. "종교적 의미에 대한 기독교 장애인 신도의 주체적 수용 분석" (안도헌, 오세일 공저), 『사회이론』

2020. "외모지향과 진정성은 삶의 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오세일, 최범수 공저), 『한국사회학

2020. "청년세대와 종교혁신: 대학생 교목 프로그램 사례 분석" 『탈종교화 시대의 종교경쟁과 혁신』 (오세일 공동 저술), 늘봄출판사


2019. "청년세대를 위한 통합적 삶의질 연구" (오세일, 전승봉, 고태경) 『사회과학연구』

2019.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성장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천효숙, 오세일) 『생명연구』

2019. "피해자의 단상: 내러티브 연구를 통한 알코올중독 가정 자녀의 삶의 재구성" (오세일, 최윤, 강선경)『한국피해자학회』

2019.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경륜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오세일, 이미숙, 강상준, 최윤)『인문사회21』


2018. 한국 남자 수도회, 사도생활단 현황 "한국천주교회 총람 (2013-2017)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18. "대학생의 소비와 행복에 관한 연구: 서울 S대학생들의 의류소비를 중심으로" (노정인, 오세일 공저), 생명연구 49집.

2018. "Tasks for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on the Path of Pope Francis." (Seil Oh)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August.

2018. "After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south Korea" (Seil Oh) Civilta Catholica. June 15 (English version).


2017. "교육 패러다임과 영성: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참여영성의 과제" 『신학과철학』(forthcoming)

2017. "Exploring the Religious Marketplaces of Korean Youths: Riddles of Secular Change and Innovation," (Seil Oh) Korea Journal(vol 57, no. 4)
2017. "한국인의 근면성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조재현, 오세일) 『인문사회21』
2017. "대학생의 자기계발과 삶의질" (김건순, 김남진, 오세일) 『사회과학연구』
2017. "청년세대, 피안은 어디인가? 행복, 종교, 세대의 관계성 탐색"  (변미리, 오세일)  『서울사회학』
2017. "대학생의 연애와 자아성장: 연애유형, 진정성과 성찰성" (김한결, 오세일) 『생명연구』
2017. "대기업 청년 퇴사자의 진정성과 자기계발:신자유주의 시대, ‘개인화된 자아’ 구성을 중심으로" (김초롱, 오세일) 『사회이론』


2016. "대학생의 연애와 행복: 문화레퍼토리로서의 사랑, 진정성과 성찰성" (오세일, 박태진)『사회이론』
2016. "한국사회의 삶의 질 저하 현상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 신자유주의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오세일, 조재현 공저)『생명연구』겨울호
2016. "공공 영역에서 종교의 역할과 갈등: '세월호 특별법'제정에 대한 그리스도교 찬반 논쟁"(박진우, 오세일 공저)『사회이론』49호.
2016. "다문화교회의 사회자본의 형성과 동학에 관한 연구"(김경주, 오세일 공저)『현상과인식』
2016. "한국천주교회 위기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과 사목적 제안"『사목연구』35호.


2015. "The Growth of Catholic Church in Korea: Social Evangelization for the Marginalized." Korean Church, God's Mission, Global Christianity.
2015. "한국천주교회와 사회참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로 인한 성찰적 근대화" 『한국사회학』  49(2)
2015. "이주민에 대한 한국교회의 대응: 다문화교회의 형성 사례연구" (김경주, 오세일, 김우선 공동연구) 『종교연구』 75(2)
2015. "행복과 영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한국 청년 세대 연구를 향한 시론" 『인문사회21』
2015. "한국 종교 지형에 대한 이론 분석과 통합 과제" (이시윤, 오세일 공동연구)『사회이론』 48권
2015. "The Crisis of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Post-Secular Society: In the Light of the Legitimacy Crisis."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s 76.


2014. “시민 종교 담론, 한국사회에서 읽기” (오세일, 이상지 공저)『사회이론』 46호.
2014. "The Cultural Mechanisms of Holistic Practice in the U.S. Spiritual Marketplace."『종교 연구』 74(3).
2013. "한국천주교회와 사회참여 영성: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관점에서 본 새로운 복음화“ 『신학과 철학』 22호.
2012. “교계제도 설정 이후 한국천주교회: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교회사연구』 40호.
2012. “Spiritual Individualism or Engaged Spirituality?: Social Implications of Holistic Spirituality among Mind-Body-Spirit practitioners" Sociology of Religion 73(3).

 

연구 프로젝트 
- 대학생들의 종교 성향 변화 연구’ (U.S.C.와 공동연구-Templeton 프로젝트)

- 영성치유를 통한 행복학 연구 (서강대 철학중점연구소 프로젝트)
- 한국 청년 세대를 위한 통합적 삶의 질 지수 계발

- 4대 중독과 한국형 치유 모델 개발 (서강대 생명문화연구소 프로젝트)
- 청년 세대, 연애와 행복, 소비/문화와 삶의 질; 노동과 공정성 연구 
- 다문화 사회, 포스트-세속 사회에서 종교와 사회 통합

- 가톨릭 교회, 청년 세대의 탈교회화 현상 연구

- 종교의 다중 갈등과 공공성  등